토니 가틀리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니 가틀리프는 알제리 출신의 프랑스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이다. 1975년 데뷔작인 『라 테트 온 루이누』를 시작으로, 로마니족의 문화를 탐구하는 작품들을 주로 제작했다. 대표작으로는 다큐멘터리 영화 『라초 드롬』(1993), 『사랑보다 강한 여행』(2004) 등이 있으며, 칸 영화제 감독상 등을 수상했다. 그는 스스로를 "음악을 하는 영화감독"이라고 칭하며, 영화에서 음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제리에서 프랑스로 이민간 사람 - 자크 데리다
자크 데리다는 알제리 출신의 프랑스 철학자로, 탈구조주의의 주요 인물이며 서구 철학의 전제를 비판적으로 재검토하고, "현전의 형이상학"을 해체하려 했으며,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기호학에 영향을 받아 "텍스트 바깥은 없다"라는 주장을 펼쳤다. - 알제리에서 프랑스로 이민간 사람 - 아메드 벤 벨라
아메드 벤 벨라는 알제리의 독립운동과 정치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로, 알제리 초대 대통령을 지냈으며, 반식민 운동에 참여하여 알제리 민족 해방 전선의 지도자가 되었고, 사회주의 정책 추진 및 비동맹 운동 주도 등의 활동을 펼쳤다. - 알제 출신 - 자크 데리다
자크 데리다는 알제리 출신의 프랑스 철학자로, 탈구조주의의 주요 인물이며 서구 철학의 전제를 비판적으로 재검토하고, "현전의 형이상학"을 해체하려 했으며,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기호학에 영향을 받아 "텍스트 바깥은 없다"라는 주장을 펼쳤다. - 알제 출신 - 이슬람 슬리마니
이슬람 슬리마니는 알제리 국적의 축구 선수로, 공격수이며, 알제리 대표팀 역대 최다 득점자이다. - 칸 영화제 감독상 수상자 - 에토레 스콜라
에토레 스콜라는 사회 비판적 시각과 휴머니즘을 결합한 작품들로 국제적 명성을 얻은 이탈리아의 영화감독이자 각본가로, 《우리는 서로를 너무나 사랑했네》, 《특별한 날》 등의 대표작이 있으며 말년에는 오페라 연출가로도 활동했다. - 칸 영화제 감독상 수상자 - 미하엘 하네케
오스트리아 출신의 영화 감독 미하엘 하네케는 철학, 심리학, 연극을 전공 후 텔레비전 감독으로 데뷔, 사회적 문제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과 독특한 연출 스타일로 국제적인 찬사와 논쟁을 일으키며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두 차례 수상하는 등 영화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토니 가틀리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미셸 다마니 |
출생일 | 1948년 9월 10일 |
출생지 | 알제리 알제 |
국적 | 프랑스 |
직업 | 영화 감독, 제작자, 각본가, 배우, 작곡가 |
수상 | |
칸 영화제 감독상 | 2004년 사랑보다 강한 여행 |
로카르노 국제 영화제 에큐메니칼 심사위원상 | 1997년 가쪼 드롬 |
2. 초기 생애 및 경력
토니 가틀리프는 알제리에서 태어났다.[2] 아버지는 카빌인(fr)[5], 어머니는 안달루시아계 로마인이다. 알제리 독립 전쟁 이후인 1960년에 프랑스로 건너갔다. 로마 집락에서 플라멩코 등의 로마 음악을 들으며 자랐다. 프랑스에서 연기 공부를 하고 무대에 섰지만, 영화 제작에 참여하게 되어 1975년에 첫 감독 작품 『라 테트 온 루이누』를 제작했다. 1979년에는 알제리 독립 전쟁에 대한 영화 ''배 속의 땅''(La Terre au ventre)을 연출했다. 1981년 이후에는 로마 사람들을 주제로 영화를 제작하고 있다.[6]
2. 1. 개인사
가틀리프는 피에 누아르 혈통으로 알제리에서 태어났다.[2] 알제리 독립 전쟁 이후인 1960년에 프랑스로 건너갔다. 아버지는 카빌인(fr)[5], 어머니는 안달루시아계 로마인으로, 로마 집락에서 플라멩코 등의 로마 음악을 들으며 자랐다. 프랑스에서 연기 공부를 하고 무대에 섰지만, 영화 제작에 참여하여 1975년에 첫 감독 작품 『라 테트 온 루이누』를 제작했다. 1981년부터 로마 사람들을 주제로 영화를 제작하고 있다.[6]2. 2. 초기 경력
가틀리프는 영화 업계에 진출하기 위해 수년간 고군분투했으며, 1975년 첫 영화 ''폐허 속의 머리''(La Tête en ruine)를 연출하기 전까지 여러 연극 작품에 출연했다.[6] 1979년에는 알제리 독립 전쟁에 대한 영화 ''배 속의 땅''(La Terre au ventre)을 연출했다.1981년 영화 ''Corre, gitano'' 이후, 가틀리프의 작품은 유럽의 로마니족에 초점을 맞추었다.[6] 그는 카빌인(fr) 아버지[5]와 안달루시아계 로마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로마 집락에서 플라멩코 등의 로마 음악을 들으며 자랐으며, 이후 프랑스에서 연기 공부를 하고 무대에 섰다. 1975년 첫 감독 작품 『라 테트 온 루이누』를 제작했고, 1981년 이후에는 로마 사람들을 주제로 영화를 제작하고 있다.[6]
3. 로마니 문화 탐구
1981년 영화 《Corre, gitano》 이후, 가틀리프의 작품은 유럽의 로마니족에 초점을 맞추었다.[6] 그는 로마 집락에서 플라멩코 등의 로마 음악을 들으며 자랐다.[6] 그는 스스로를 "음악을 하는 영화감독"이라고 칭하며, 영상보다 음악으로 표현하고 싶고, 영화보다 음악을 매체로 사용하고 싶다고 밝혔다.[6]
3. 1. 라초 드롬
가틀리프는 1992년과 1993년에 수많은 상을 받은 ''라초 드롬''(Latcho Drom)을 촬영했다. 이 장편 뮤지컬 영화는 다큐멘터리로 잘못 분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음악과 춤을 주제로 전 세계 집시 문화를 다루고 있다. 당시 ''카예 뒤 시네마''(Cahiers du Cinéma)의 기자였던 빈센트 오스트리아는 이 영화를 "올해 가장 진정한 영화(1993년 편집자 주석)"라고 평했다.3. 2. 몬도
가틀리프는 1994년 작가 J. M. G. 르 클레지오의 세계를 《몬도》에서 스크린으로 가져왔다.4. 주요 수상 경력
- 2004년 사랑보다 강한 여행으로 제57회 칸 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했다.[5]
- 2006년 트란실바니아는 제59회 칸 영화제의 폐막작으로 선정되었다.[5]
- 2009년 몬트리올 세계 영화제 월드 경쟁 부문에서 ''Korkoro''로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5]
5. 작품 세계
토니 가틀리프는 영화계에 진출하기 위해 수년간 고군분투하다가 1975년에 첫 영화 《폐허 속의 머리》(La Tête en ruine)를 연출하기 전까지 여러 연극 작품에 출연했다. 1979년에는 알제리 독립 전쟁을 다룬 《배 속의 땅》(La Terre au ventre)을 연출했다.
1981년 영화 《Corre, gitano》 이후, 가틀리프의 작품은 유럽의 로마니족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는 로마니족의 혈통을 부분적으로 가지고 있었다.[6]
1990년 《가스파드와 로빈슨》(Gaspard et Robinson)을 제작한 후, 1992년과 1993년에 《라초 드롬》(Latcho Drom)을 촬영하여 많은 상을 받았다. 이 영화는 음악과 춤을 주제로 전 세계 집시 문화를 다룬 장편 뮤지컬 영화로, 다큐멘터리로 잘못 분류되기도 한다. 당시 Cahiers du Cinéma의 기자였던 빈센트 오스트리아는 이 영화를 "올해 가장 진정한 영화(1993년 편집자 주석)"라고 평했다. 1년 후, 가틀리프는 작가 J. M. G. 르 클레지오의 세계를 《몬도》(Mondo, 1994)에서 스크린으로 가져왔다.
2004년 영화 《망명》(Exils)으로 2004년 칸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했다.[3] 그의 영화 《트란실바니아》(Transylvania)도 2006년 5월 2006년 칸 영화제에서 초연되었다.[4]
가틀리프는 스스로를 "음악을 하는 영화감독"이라고 표현하며, 영상보다 음악으로 표현하고, 영화보다 음악을 매체로 사용하고 싶다고 밝혔다.[6]
5. 1. 영화 목록 (감독 및 각본)
연도 | 제목 | 비고 |
---|---|---|
1975 | 라 테트 엉 루인 | |
1978 | 라 테르 오 벙트르 | |
1981 | 코레 히타노 | |
1981 | 칸타 히타노 | |
1982 | 레 프랭스 | |
1985 | 뤼 뒤 데파흐 | |
1989 | 플뢰르 파 미 러브 | |
1990 | 가스파르 에 로빈슨 | |
1990 | 가스파르/너와 함께한 계절 | |
1992 | 라초 드롬 Latcho Drom | |
1993 | 라초 드롬 | |
1995 | 몬도 | |
1995 | 몬도 Mondo | |
1996 | 이 무브리니 I MUVRINI | |
1997 | 가조 딜로 | |
1997 | 가초 디로 Gadjo Dilo | |
1998 | 주 스위 네 드 윈 시곤 | |
2000 | 벵고 | |
2000 | 벵고 Vengo | |
2001 | 스윙 | |
2002 | 나의 스윙 Swing | |
2004 | 엑실(2004) | |
2004 | 사랑보다 강한 여행 Exils | |
2004 | 비전스 오브 유럽 | |
2004 | 추방된 사람들 | |
2006 | 트란실바니아 | |
2006 | 트란실바니아 Transylvania | |
2009 | 코르코로(2009) | |
2012 | 분노하라(2012) | |
2012 | 인디그나도스(2012) | |
2014 | 제로니모 | |
2017 | 잼(2017) | |
2021 | 톰 메디나(2021) |
5. 2. 각본
- 라 라쥬 오 푸앙 (1975)
5. 3. 영화 (한국어 제목)
- 잼 (2017년)
- 제로니모 (2014년)
- 분노하라 (2012년)
- 코코로 (2009년)
- 트란실바니아 (2006년)
- 비전스 오브 유럽 (2004년)
- 사랑보다 강한 여행 (2004년)
- 나의 스윙 (2002년)
- 벵고 (2000년)
- 가쵸 딜로 (1997년)
- 몬도 (1995년)
- 라쵸 드롬 (1993년)
- 가스파드 엣 로빈슨 (1990년)
- 루 드 드빠트 (1986년)
- Les Princes (1983)
5. 4. 사운드트랙
- 라초 드롬 - ''Latcho Drom'' (1992)
- 가조 딜로 - ''Gadjo Dilo'' (1998) (미추, 로나 하트너 참여)
- 벤고 - ''Vengo'' (2000) (토마티토 참여)
- 나의 스윙 - ''Swing'' (2002) (차보로 슈미트 참여)
- 사랑보다 강한 여행 - ''Exils'' (2004)
- 트란실바니아 - ''Transylvania'' (2006) (파야 베어 참여)
참조
[1]
웹사이트
Tony Gatlif
https://www.romarchi[...]
[2]
뉴스
Tony Gatlif en terre d'asile
http://www.rfimusiqu[...]
2018-02-08
[3]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Exils
http://www.festival-[...]
2009-11-30
[4]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Transylvania
http://www.festival-[...]
2009-12-18
[5]
Radio
Tony Gatlif en terre d'asile
http://www.rfimusiqu[...]
Radio France internationale|RFI
2004-09-02
[6]
CD
チャボロ・シュミット/ミリ・ファミリア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